인허가 정보
- 닥터눈 CKD_Korea MFDS : [제품명] DrNoon CKD / 2024년 1월 식약처로부터 임상시험 계획 승인을 받았으며, 2023년 8월에는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되었습니다.
*닥터눈 CKD는 현재 한국 식약처 허가 진행 중입니다.
망막 AI 기반
만성콩팥병 위험 평가 솔루션
닥터눈 CKD는 망막 이미지를 기반으로 미래 만성콩팥병 발생 위험을 예측하는 인공지능 솔루션입니다.
혈액이나 소변 검사 없이 간편한 눈 검사만으로 미래의 만성콩팥병 위험도를 평가합니다.
검사 방식
의료 현장 적용을 위한 간편한 프로세스를 확인해보세요.
-
STEP 1
안저카메라를 통해 양쪽 눈의 망막을
각각 한 장씩 촬영합니다. -
STEP 2
촬영된 망막 이미지는
의료기관 서버 또는 클라우드로 전송됩니다. -
STEP 3
인공지능이 만성콩팥병 발생 위험도를
자동으로 분석합니다. -
STEP 4
검사 결과 보고서를 통해 환자의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도를 알 수 있습니다.
기존 검사와의 비교
전통적인 만성콩팥병 검사와의 비교를 통해 닥터눈 CKD의 우수한 성능을 확인해보세요.
닥터눈 CKD vs 전통적인 검사
- 혈액 검사 (eGFR)
- 소변 검사 (ACR)
- 검사 방식
- 사용 편의성
- 초기 콩팥질환 예측 정확도
- 장비 및 설치 공간
- 정확도
- 정상 콩팥상태에서의 활용성
닥터눈 CKD
- 검사 방식 망막 AI 기반 만성콩팥병 위험 예측
-
사용 편의성
높음 (간단한 망막 사진 촬영)
-
초기 콩팥질환 예측 정확도
높음 (동네 의원에서도 받을 수 있는 검사)
-
장비 및 설치 공간
안저카메라 설치 공간 필요
-
정확도
높음 (다양한 인구 및 당뇨병 환자 대상으로도
높은 예측 정확도를 보임) -
정상 콩팥상태에서의 활용성
정상 콩팥 상태에서 미래 만성콩팥병 발생 가능성을 평가 할 수 있는 검사로 활용 가능
주요 장점
-
현재 표준 콩팥기능 검사인
추정 사구체여과율(eGFR)보다 만성콩팥병 위험을 더 정확하게 예측합니다. -
바늘 주사나 방사선 노출이 없는 검사로 보다 편안한 검사가 가능합니다.
-
검사 절차는 간단하며, 결과 제공 또한 신속하게 이루어집니다.
-
의원, 병원, 검진센터에서 활용 가능해 더 많은 환자에게 만성콩팥병 위험 평가 기회를 제공합니다.
논문 & 웨비나
닥터눈 CKD의 효과와 신뢰성을 뒷받침하는 임상 연구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
Original Paper
Non-invasive chronic kidney disease risk stratification tool derived from retina-based deep learning and clinical factors
-
Original Paper
Prediction of systemic biomarkers from retinal photograph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deep-learning algorithms
-
Conference Abstract
Retinal Photograph-based Deep Learning Predicts CKD among people with preserved kidney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