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웨일 리더십 

업계 최고의 팀을 자랑하는 메디웨일은 안과 전문의, 머신러닝 인공지능 전문가, 글로벌 비즈니스 전문가와 함께 성장을 지속해나가고 있습니다. 메디웨일의 리더십팀이 어떻게 환자들에게 인공지능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고 더 나은 의료 환경을 만들어나가고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리더십 팀

최태근

대표, 공동 창업자

최태근 대표는 업계 최초로 종합 AI 진단 솔루션을 제공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의 선두주자인 메디웨일의 공동 창업자이자 CEO입니다. 전략적 기획과 사업 실행력을 갖춘 그의 리더십은 신규 사업을 확장해나가면서 더욱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그의 미션은 AI 진단을 통해 모든 사람들이 질병의 위험을 미리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자신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질병을 예방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최태근 대표는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쉽게 누릴 수 있도록 개선하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의료서비스에 AI를 적용하는 것이 환자 관리를 개선함은 물론,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의료진이 정보에 입각한 판단을 신속하게 내릴 수 있도록 돕는다고 믿습니다.

그의 미션은 DrNoon 닥터눈 AI 진단을 통해 누구나 적은 비용으로 쉽게 개인화된 건강 진단을 받고, 질병을 조기에 예방하게 함으로써 진료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나가는 것입니다. 최태근 대표는 포항공과대학교에서 산업공학과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임형택 전문의학박사

최고의료책임자, 공동 창업자

임형택 의학 박사는 메디웨일의 공동 창업자이자 최고의료책임자로 펠로우 수련을 마친 망막 전문 안과 의사이자 역학자, 머신러닝 전문 의과학자입니다. 

그는 Duke-NUS 의과대학의 조교수를 역임했고 싱가포르 안과연구소(SERI) 및 싱가포르 국립안과센터(SNEC)에서 의과학자 및 머신러닝 전문 연구원으로 활동하였습니다. 

싱가포르에서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관련 연구 경력을 쌓기 전에는 한국에서 서울 연세대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안과 조교수를 역임했습니다. 유리체망막 외과의로서 망막 질환 진단과 관리 경험이 풍부하고 최소 침습 유리체절제술 분야의 전문가입니다. 

그의 연구는 안과와 관련된 생물통계학, 역학, 빅데이터 분석 및 머신러닝을 포괄하는 데이터 과학에 중점을 두고있습니다. 

임형택 최고의료책임자는 Lancet Digital health, Ophthalmology, JAMA Ophthalmology, Stroke, Journal of Hyperten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등 다양한 의학, 과학 학술지에 150편 이상의 논문을 제1저자 또는 공동 저자로 게재했습니다. 그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화학 학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이근영

최고기술책임자, 공동 창업자

이근영 최고기술책임자는 메디웨일이 설립될 때부터 함께 해왔습니다. 평소 머신러닝과 프로그램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2016년 한국 최대 규모의 병원인 서울아산병원이 주최한 빅데이터 건강 및 과학 경진대회에 참가했습니다. 헬스케어의 빅데이터를 다루는 대회에서 유일한 개인 참가자로 우승을 차지한 것을 계기로 최태근 최고경영자를 만나게되고 이후 메디웨일의 창립 멤버가 되었습니다. 

그의 전문분야는 의학 영상들과 의료 소프트웨어에 인공지능을 적용시키는 것입니다. 그는 메디웨일의 주요 기술인 인공지능 진단 알고리즘 DrNoon 닥터눈을 만드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근영 최고기술책임자는 의료 빅데이터 대회에서 최태근 대표를 만난 이후 전 세계 사람들이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더욱 쉽게 누릴 수 있도록 하고자 메디웨일을 공동 창업했습니다. 그의 목표는 환자, 병원, 정부, 보험회사를 포함한 모든 의료 서비스 참가자들의 니즈를 만족시키는 회사를 만드는 것입니다. 이근영 최고기술책임자는 서울대학교에서 원자핵공학과 학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신나연

최고운영책임자

신나연 최고운영책임자는 회사 운영을 선도하며 새로운 시장 기회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다국적 기업에서 기업의 전략 개발, 브랜드 관리 및 마케팅, 새로운 디지털 서비스 출시 및 운영 업무를 맡아오며 15년 이상의 리더십 경험을 축적하였습니다. 비즈니스 운영과 새로운 사업 발굴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그녀는 메디웨일이 스타트업 기업을 뛰어넘는 성장을 할 수 있도록 기여하고 있습니다.

메디웨일 입사 전에는 디즈니플러스 한국 사업의 운영 책임자로서 디즈니플러스 서비스의 국내 출시를 이끈 바 있습니다. 또한 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에서 전사 브랜드 마케팅을 지휘하였고, 영화 마케팅, 디지털 사업개발, 전사 전략 수립 등 여러 분야에서 리더십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디즈니 입사 전에는 아시아를 총괄하는 유니레버 싱가포르 사에서 글로벌 브랜드 매니저로 경력을 쌓았으며, 올리버 와이먼 사에서 경영 컨설턴트로도 활약하였습니다.  

신나연 최고운영책임자는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MBA), 서울대학교에서 경영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제임스 림 박사

임상시험 총괄

제임스 림 박사는 생체재료 과학자로서 의료 기술 연구개발 분야에서 14년 넘게 재직하고 있습니다. 

그는 연구 초기 시절부터 약물 용출 금속 스텐트,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 페이턴트 오리피스 오클루더(PFO), 주입형 젤 약물 전달 시스템, 혈액 투석을 위한 이식형 혈관 장치 등의 결합 장치 기술에 중점을 둔 프로젝트를 맡았습니다. 제임스 림 박사는 7개의 특허를 보유한 발명가이기도 합니다.

그는 싱가포르 경제개발위원회 출신이며 미국 메이요 클리닉 심장신장과 소속 연구 과학자로 발명품 출원 및 허가도 받았습니다. 

2012년 싱가포르 과학기술청(A*STAR)에서 싱가포르-스탠포드 생체설계 프로그램 과정을 마쳤고, 이후 Advent Access사에서 맡은 이식형 혈관 접근 장치 프로젝트의 수석 과학자로서 연구활동을 했습니다.

메디웨일 입사 전 제임스 림 박사는 말기 신장 질환 환자에게 동정맥루를 진단하는 비침습적 기술 제공에 특화된 NephTech를 창업하고, Accrete Innovation 사에서 멘토링 및 사업 개발을 맡아 해외 신생 기업들의 동남아 시장 진출을 도왔습니다. 그는 또한 영국 표준 협회에서 제공하는 ISO13485 및 CE 규제 업무 시행에 대한 교육을 이수하는 등 의료 허가 분야의 전문가이기도 합니다. 제임스 림 박사는 난양이공대학교에서 재료과학 및 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이민정, P.E., 미국변리사

사업개발 총괄

이민정 사업개발 총괄은 사업개발 및 확장과 지적재산권(IP) 관련 경험을 바탕으로 메디웨일에서 사업개발 및 IP 전략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사업개발부터 프로젝트 관리, 엔지니어링, 운영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이고 광범위한 경험을 갖고 있습니다. 가장 핵심적인 성과를 몇몇 이야기하자면, 그녀는 수십조 원에 달하는 프로젝트를 관리 및 수행하였으며, 기획 단계부터 전략수립, 계약확정까지 이르는 비즈니스 사업개발의 전 과정을 이끌었습니다.

메디웨일에 입사하기 전, 그녀는 SK E&C 미국법인과 미국 KBR에서 프로젝트 매니저를 담당했으며, LG전자에서 사업개발 담당자로서 글로벌 파트너들과 함께 일하며 수많은 B2B/B2C 기회를 발굴했습니다. 또한 이케아 코리아에서 한국 시장 개발 및 운영을 담당하는 리더십 역할을 맡으며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였습니다.

이민정 사업개발 총괄은 미국 특허청 (USPTO)의 공인된 변리사이며 미국 전문 엔지니어 협회 소속의 공인된 전문 엔지니어 (P.E.) 입니다. 그녀는 미국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에서 화학공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임상 자문 위원회

그레고리 립 교수

영국 리버풀대학교 심혈관의학부 Price-Evans 학회장                                     

그레고리 립 교수는 영국 리버풀대학교의 심혈관의학부 Price-Evans 학회장과 리버풀 심장흉부 병원의 리버풀 심혈관과학센터 소장을 맡고 있습니다. 또한 덴마크 올보르대학교의 저명한 교수이자 서울대학교와 연세대학교의 겸임교수이기도 합니다.

그는 심방세동의 역학뿐 아니라 부정맥에서의 혈전핵전증의 병리학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뇌졸중 및 출혈 위험 요인과 임상 위험층화의 개선에 대해서도 연구해왔습니다. 

그레고리 립 교수는 심방세동 치료법인 Atrial fibrillation Better Care(ABC) 경로를 도입하여 심방세동 환자 관리를 간소화했습니다. ABC 경로는 현재 미국 흉부외과 의사협회의 CHEST 지침, 대한부정맥학회, 유럽 심장학회지, 그리고 새로운 2020 유럽심장학회의 지침에 따라 권장되고 있습니다. 그는 지난 2014년 학술연구 평가기관 엑스퍼스케이프(Expertscape)에서 심방세동의 이해 및 치료 분야에서 세계 유수의 전문가로 선정된 바 있습니다.

현재 그레고리 립 교수의 연구 관심사는 역학에서부터 병태생리학, 임상이행연구, 임상 위험 평가, 위험 궤적, 환자 관리 경로, 응용 보건 연구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합니다. 또한 빅데이터와 역학 관찰을 활용해 가설을 세우고 심방세동, 고혈압, 혈전증과 같은 일반적인 심혈관 질환의 관리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는 임상 연구를 알리는데 열정을 쏟고 있습니다.

 

청칭유 교수

싱가포르 눈 연구소장

청칭유 교수는 싱가포르 눈 연구소의 수석 과학자이자 소장입니다. 그는 싱가포르 안질환의 역학, 영상학, 유전학에 중점을 둔 대규모 학제간 연구 프로그램인 싱가포르 안질환 역학(Singapore Epidemiology of Eye Diseases, SEED) 프로그램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싱가포르 안질환 역학 프로그램은 세계에서 가장 큰 안질환 역학 데이터베이스(n > 10,000)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의 주된 연구 관심사는 주요 안질환의 역학 및 유전학 분야입니다. 유전체 연관 접근법과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기술을 모두 활용하여 녹내장에 대한 다양한 역학, 임상, 영상 연구와 복잡한 안질환에 대해 민감한 유전자 규명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또한 안저 영상을 기반으로 딥러닝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건강 상태를 예측하는 연구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청칭유 교수는 여러 국제 학술지의 편집 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2012년과 2017년에 싱가포르 국립의학연구위원회로부터 임상 과학자상(CSA), 아시아 태평양 안과학술대회(APAO)로부터 공로상, APAO로부터 실명 예방 분야 우수 서비스상, 미국 안과학회(AAO)로부터 공로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그는 1995년 대만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2001년 안과 전문의 자격을 취득했습니다. 또한 윌머 안과연구소의 예방안과에서 펠로우 수련을 마쳤으며 존스홉킨스대학교에서 공중보건학 석사 학위와 유전역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