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팝업 닫기
News

메디웨일, 세계 최대 규모 의생명공학회에서 닥터눈의 상업화 성공사례 발표

보도자료

전 세계 최대 규모의 의생명공학회인 IEEE EMBS 주최 행사
– 닥터눈 AI 소프트웨어 의료기기의 성공적인 개발과 상업화 과정 상세히 소개

메디웨일의 임형택 최고의학책임자(Chief Medical Officer)는 헬스케어 데이터 사이언스 및 엔지니어링 포럼 (Forum on Data Science and Engineering in Healthcare, Biology and Medicine)에서 메디웨일의 ‘닥터눈’ (영문명 Reti-CVD, 심혈관위험평가소프트웨어) 개발 및 상용화 과정 전반에 대해 발표했다.

전 세계 최대 규모의 의생명공학회인 IEEE EMBS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 산하 의생명공학회,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EMBS: Engineering in Medicine & Biology Society)와 국립싱가포르대학교가 공동 주최한 본 행사는 5월 30일과 31일 양일간 싱가포르에서 진행되었다.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에서 엄선된 데이터 사이언스 최고 전문가들이 초빙되어 발표하였으며, 조지아공과대학교, 컬럼비아대학교, 에모리대학교의 의생명공학과에서 행사를 후원했다.

“닥터눈 AI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코드 개발부터 상업화까지 (Reti-CVD AI-SaMD: from code to commercialization)”라는 주제로 진행된 발표에서 임형택 최고의학책임자는 지금의 닥터눈이 시장에 나오기까지의 연구기획 및 의료 인공지능의 개발, 의료기기 인증과 보험수가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상세히 설명했다. 메디웨일이 개발한 닥터눈은 간단한 망막 촬영만으로 미래의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AI 의료기기로서 심혈관질환이 발생하기 이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망막 사진에서 혈관 질환을 예측할 수 있다는 개념은 이미 1800년대부터 의학자들 사이에서 공유되었다. 하지만 실제 구현되어 의료업계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최근인데 이는 AI에 의해 빅데이터 자동화 처리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메디웨일의 닥터눈은 전 세계 22만 건이 넘는 망막 데이터를 AI로 분석하여 심장 CT와 동등한 유효성을 입증해 란셋 디지털 헬스(The Lancet Digital Health) 같은 세계적인 의학 학술지에 실렸으며, 본 행사에서 임형택 최고의학책임자는 그러한 연구 및 검증 과정을 상세히 발표했다.

뿐만 아니라 메디웨일의 상업화 과정도 금번 발표에서 유의미하게 다루어졌다. 메디웨일은 실험실 연구를 넘어 실제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의료기술을 개발하는 데에 성공하였다. 메디웨일은 닥터눈의 성공적인 제품화 이후 한국을 포함한 유럽, 영국, 호주 등 8개 지역에서 의료기기 승인을 받았다. 또한 수많은 AI 의료기기 기업들 중 유일하게 외래에서 비급여 사용 가능한 국내 첫 번째 AI 의료기기가 되었다. 이는 메디웨일이 보유한 우수한 임상 증거들을 바탕으로 보건복지부의 평가 유예 신의료기술로 선정되었기에 가능하였다.

임형택 최고의학책임자는 “전 세계 최대 규모의 의생명공학회인 IEEE EMBS 행사에서 성공적인 AI 의료기기 개발 및 상업화 사례로서 메디웨일의 닥터눈을 발표할 수 있게 되어 영광이다.”라며 “현재 우리는 어떤 AI 기업들도 가보지 못한 길에 서 있다. 상업화 성공 직전의 순간이라 생각하며 오랫동안 개발한 기술이 빛을 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메디웨일, 아스트라제네카 주관 ‘만성 콩팥병 챌린지’서 망막을 이용한 AI 진단 솔루션으로 우승
메디웨일 ‘닥터눈’, 평가 유예 신의료기술 보건복지부 고시 발령